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2)
계약의 중요성 제가 처음 사업을 시작했을때 계약의 중요성을 간과했던 것 같습니다. 무지해서였지요. 그런데 돌아보면 우리 사회는 거의 모든 것이 암묵적이든 명시적이든 계약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결혼도 엄밀히 따지면 계약이고 서로간의 약속거든요 (거의 암묵적으로 자동연장되는 종신계약이죠. 그래도 요새는 이혼도 많이 하고 그것이 흠결이 되지도 않으니 예전보다는 나아졌죠.) 사업 이라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형태가 내가 물건 혹은 서비스를 납품하고 그에 따른 반대급부, 대부분의 경우 돈을 지급받는 형태의 거래를 업으로 하는 건데요, 이때 나는 무엇무엇을 주고 그 대가로 상대방은 무엇무엇을 주겠다 라는 것을 미리 문서로 약속하는 행위를 계약이라고 할 수있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내가 돈을 낼때보다는 돈을 받아야 할..
5계 Five Precepts 불교에서 재가 불자가 지켜야 할 5가지 계를 정하고 있는데요, 불자라면 지켜야 하는 것이 좋지만, 불자가 아니더라도 지켜서 나쁠 것이 없는 것 같습니다.  불법을 접하고 나서 보니 제 개인적인 생각인지는 몰라도 불교의 가르침이 참 합리적이고도 개인에게 유리하고 매우 개인주의적,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는 이론(?)인 것 같아요.  불살생(不殺生): 살아 있는 것을 죽이지 않는다.불투도(不偸盜): 도둑질하지 않는다.불사음(不邪淫): 아내 이외의 여성, 남편 이외의 남성과 부정한 관계를 맺지 않는다.불망어(不妄語): 거짓을 말하지 않는다.불음주(不飮酒): 술을 마시지 않는다.to prohibit killing, both humans and all animalsto prohibit theft and related..
2024년 학술연구용역 인건비 기준 단가 오늘 저는 오랜만에 제안서를 쓰고 있어요. 저는 사업 이라는 직업을 가지면서 항상 누군가에게 제안하고 돈을 받아 생산하고 (서비스를 생산하고), 돈을 집행하고, 결산하고 그런 일들의 반복이었던 것 같고, 교과서에 나오는 언어는 아니지만 그런 일들의 반복이 사업이라고도 정의할 수 있었던것 같아요.  고객이라고 하는 (제안의 대상) 상대는 정말 다양했는데요, 그중에 공공영역 (Public Sector)라고 하는, 우리가 흔히 공공조달 이라고 하는데요, 나라장터 혹은 공공기관에 직접 제안하는 방식이에요.  이 때에는 제안시 우리의 능력을 보여주는 것도 중요하고 주어진 예산을 어떻게 사용할까 하는 예산 계획이 가장 중요한 항목중에 하나이죠. 그 중 인건비는 간접비에 해당하는데요, 주로는 전체 사업비의 간접비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