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2)
5계 Five Precepts 불교에서 재가 불자가 지켜야 할 5가지 계를 정하고 있는데요, 불자라면 지켜야 하는 것이 좋지만, 불자가 아니더라도 지켜서 나쁠 것이 없는 것 같습니다.  불법을 접하고 나서 보니 제 개인적인 생각인지는 몰라도 불교의 가르침이 참 합리적이고도 개인에게 유리하고 매우 개인주의적,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는 이론(?)인 것 같아요.  불살생(不殺生): 살아 있는 것을 죽이지 않는다.불투도(不偸盜): 도둑질하지 않는다.불사음(不邪淫): 아내 이외의 여성, 남편 이외의 남성과 부정한 관계를 맺지 않는다.불망어(不妄語): 거짓을 말하지 않는다.불음주(不飮酒): 술을 마시지 않는다.to prohibit killing, both humans and all animalsto prohibit theft and related..
2024년 학술연구용역 인건비 기준 단가 오늘 저는 오랜만에 제안서를 쓰고 있어요. 저는 사업 이라는 직업을 가지면서 항상 누군가에게 제안하고 돈을 받아 생산하고 (서비스를 생산하고), 돈을 집행하고, 결산하고 그런 일들의 반복이었던 것 같고, 교과서에 나오는 언어는 아니지만 그런 일들의 반복이 사업이라고도 정의할 수 있었던것 같아요.  고객이라고 하는 (제안의 대상) 상대는 정말 다양했는데요, 그중에 공공영역 (Public Sector)라고 하는, 우리가 흔히 공공조달 이라고 하는데요, 나라장터 혹은 공공기관에 직접 제안하는 방식이에요.  이 때에는 제안시 우리의 능력을 보여주는 것도 중요하고 주어진 예산을 어떻게 사용할까 하는 예산 계획이 가장 중요한 항목중에 하나이죠. 그 중 인건비는 간접비에 해당하는데요, 주로는 전체 사업비의 간접비를 ..
미니멀리즘 Simplify my life 저는 약 7-8년 전부터 미니멀리즘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유투브를 통해 미니멀리즘을 실천하는 분들의 영상을 시청하고, 집안을 정리하는 법, 안쓰는 물건 버리는 법 등에 관심을 가지면서 제 나름대로의 원칙을 가지고 미니멀리즘을 실천하고 있어요.   영상이나 블로그에 나오는 것처럼 완전하고 결점없는 미니멀리즘을 실천하기엔 정말 쉽지 않지만, 그래도 저희 집을 방문한 사람들의 증언?에 따르면 미니멀리스트가 맞기는 맞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미니멀리즘을 실천하게 되는 계기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물건이 주는 즐거움과 행복감이 한계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인간이 언젠가는 모든 것과 이별을 해야하는 순간이 있을텐데 (언제는 아무도 모르지만 말이죠), 그때에 내 뒤에 남겨진 것들이 아름다우면 좋겠다 라..
Thousand Eyes and Hands Sutra (천수경) 처음 Sutra 라는 것을 들었을때 의미를 몰랐지만, 매우 아름답다는 느낌을 가졌던 것 같아요. Mantra라고 하는 "진언"을 들을때는 신비로웠구요. 그러다가 이것이 과연 어떤 뜻일까 궁금하더라구요. 그래서 제가 공부하는 겸 해서 글로 남겨보고 싶어요.  정리는 해보았으나 하나하나 살펴보면 아직 모르는게 더 많은것 같아요. 계속 공부하면서 알게 되는 사실이 있다면 업데이트 해야겠습니다.  a-gum il-shim-jungjuk-kyon mu-jin-shinbyon-je gwan-um dae-song-jon ir-il mu-su-rye om ba-a-ra milom ba-a-ra milom ba-a-ra mil정구업진언 淨口業眞言수리 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수리 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수리 수..
채식의 종류 제가 채식을 도전하면서 어떤걸 먹고 안먹고 하는 그런 종류가 있다고 해서 궁금해서 한 번 정리해 보았어요. 함께 공부해 볼까요? 이 분류에 따르면 저는 “락토 오보 베지테리언 (Lacto-Ovo Vegetarian)”이네요!채식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 저는 비건을 지향하지만 쉽지는 않아 보여요. 1. 비건(Vegan)모든 동물성 식품을 완전히 배제하는식단입니다. 육류, 생선, 가금류는 물론 우유, 계란, 꿀 등의 모든 동물성 제품을 섭취하지 않습니다.2. 락토 베지테리언(Lacto-Vegetarian)유제품은 허용하지만, 육류, 생선, 가금류, 계란을 먹지 않는 채식입니다. 우유, 치즈, 요구르트 등은 먹을 수 있습니다.3. 오보 베지테리언(Ovo-Vegetarian)계란은 허용하지만, 육류, ..
채식에 도전하다 작년부터 저는 채식에 도전하기 시작했어요. 아직 완벽하진 않지만 아이들과 함께 하는 혹은 아이들에게 주는 식사를 제외하고는 가능한한 채식을 하기 위해 노력중이에요. 채식을 하게 된 이유는 몇가지가 있는데요, 첫째. 건강을 위해서 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동물성 지방으로 인해 살도 찌고 소화도 잘 안되는거 같아요. 특히 뱃살이 문제인데요, 젊을때에 비해 같은 운동량이면 몸무게나 근육량이 유지되는 정도가 매우 비효율적으로 바뀌는걸 체감하게 되더라구요. 한때는 다이어트를 위해 ”고기+야채+과일“ 식단을 유지하며 탄수화물을 줄인 적도 있었는데, 이제는 탄수화물 뿐만 아니라 동물성 지방도 줄이려고 노력해요. 둘째. 동물복지를 위해서 입니다. 누구에게 강요하거나 강요받은것도 아닌데요, 어느날 갑자기 나를 위해 공장식..
커피중독_버리기 힘든 "깨어있기" 중학교때부터 믹스커피를 마시기 시작했던 것 같습니다. 그때는 믹스커피라기 보다는 "커피 1 설탕 1 프림 2" 이런 식의 커피였죠. 커피를 마시면 정신이 번쩍 들고 밤늦게까지 깨어있어 공부하기에 아주 용이했거든요. 심지어 집중도 잘 되었어요.  1995년에 고등학교에 입학했고, 그때부터는 매일아침 7:30까지 등교해서 밤 10:00까지 야간자율학습을 하던 때였죠. 점심먹고 저녁먹고 야자시간 틈틈이 분말커피를 타마시곤 했어요. 그때 기억하기로는 테이스터스초이스 커피믹스 였던 것 같습니다. 빨간색과 검정색이 적절하게 조합된 포장지에 특유의 영문 로고가 새겨져 있는 스틱형태가 아닌 작은 직사각형 형태의 포장이었죠. 그러다가 어느 순간 "네스카페" 혹은 "레쓰비"라고 하는 캔커피를 마시게 되었어요. 정말 잠이 ..
실패를 극복하는 방법 1. 실패를 인지하기우리는 살면서 다양한 실패와 좌절을 경험하는 것 같아요. 저같은 경우도 그랬는데요. 저는 이런 질문을 했습니다. “이것은 실패인가” “실패”를 인지하는 것이 우선은 가장 중요했던 것 같습니다. 만약 그때 제가 그것을 실패라고 인지하지 못하고, 계속 그것을 어떻게든 만회하려고 했다면 헤어나올 수 없는 진흙탕에서 계속 헤엄을 치고 있는 모습이었을 것 같아요. 갯벌이나 물에 빠지면 몸을 계속 움직이기보다는 멈추고 힘을 빼야 하자나요. 그런데 빠진걸 인지하지 못하면 살기 위해 계속 움직이는 거죠. 그러다보면 더더 빨려들어가게 되는. 그런 아이러니한 상황인 거에요. 그래서 일단 실패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실패를 인지하고 더이상 움직이지 않기”가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2. 부정적 감정 다스..
워킹맘의 평일 루틴 저의 자녀는 2024년 8월 현재 기준, 각각 18세, 14세 입니다. 아이들이 한참 유치원, 초등학교를 다니던 시절에는 루틴이라고 할 것도 없었어요. 그냥. 무조건. 그저 정신없고 바빴거든요. 아이들을 키우며 일을 한다는 것은. 그야말로 시간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여유가 없고 나의 시간을 돌아본다는 것은 상상도 하지 못했어요.  그런데 이렇게 키워놓고, 저또한 일적으로나 인간적으로나 성숙해 가고 있다보니 어느새 나를 돌아볼 여유도, 나의 과거와 나의 현재를 쳐다볼 여유도 생겼지 모에요:) 그래서 오늘은 저의 요즘 루틴 (2024년 8월 기준. 나이 만 44세. 본업 사업가)을 한 번 정리해 보고자 해요.   5:40-6:00 일어나서 명상. 미지근한 물을 마시고 그 이후에 우유를 탄 커피 (라테) 도 마..
개인사업자 VS 법인사업자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에 대한 정확한 정의와 설명, 법적인 비교 등은 다양한 블로그나 카페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어요. 저는 그래서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에 따라 도움이 될만한 저의 이야기를 매우 쉽게 풀어보려고 합니다. 정말 개인적인 이야기이므로, 정확한 숫자나 법률에 관한 사실은 여러분이 전문가 혹은 전문적 글을 통해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개인사업자를 3가지를 개설하고 폐업 (카페, 베이커리, 협회)을 한 적이 있고, 법인 사업자 2가지를 개설 (학원업, 사무관리업)하고 그중 하나는 폐업 (정확히는 파산)을 한 경험을 가지고 있어요.  이렇게 정리해보니 저의 직업은 확실히 사업이 맞았네요. 자주 저의 직업에 관한 질문을 받게 되면 머라고 해야 되는지 항상 고민이었는데, 이제는 그냥 사업하는 사람..